-
우크라이나 및 동맹국, 12일부터 30일간 휴전 협정 요구국제 2025. 5. 11. 17:35반응형
우크라이나 키이우, 5월 11일 — 우크라이나와 영국·프랑스·독일·폴란드 정상이 키이우에 집결해 오는 12일 0시(현지시간)부터 최소 30일간 ‘무조건 완전 휴전’을 요구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협상이 깨질 경우 러시아에는 ‘대규모 추가 제재’가 예고됐다. 현장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 대신 전화로 참여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준수하지 않으면 러시아의 에너지·금융 부문에 전례 없는 압박이 가해질 것”이라며 지지를 보냈다.   
이번 회동은 프랑스의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영국의 키어 스타머 총리, 독일의 프리드리히 메르츠 총리, 폴란드의 도날트 투스크 총리가 첫 ‘4국 동승 열차’로 키이우 중앙역에 도착하면서 시작됐다. 유럽 4대 핵심국 정상이 동시에 전시국을 찾은 것은 전례가 없다. 그들은 마이단 추모벽에 헌화한 뒤 마리인스키 궁으로 이동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과 회담을 가졌고, 화상 연결로 20여 ‘의지의 연합(Coalition of the Willing)’ 회원국 정상에게도 동참을 촉구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진정한 평화의 첫걸음은 총성이 멎는 것”이라며 러시아가 제안에 호응할 경우 즉시 직·간접 교전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하루라도 민간인의 피를 멈춰야 한다. 우리는 내일을 기다릴 수 없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역할도 주목된다. 그는 3월 사우디 제다에서 열린 미·우크라이나 협상에서 이미 30일 휴전을 주도했고, 이번에도 “러시아가 응답하지 않으면 경제적 고통이 배가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다만 그의 행정부는 군사·정보 지원 재개를 휴전 성패와 연동시키겠다는 입장이라 우크라이나 내부에서는 ‘조건부 동맹’에 대한 의구심도 남아 있다.   
크렘린의 첫 반응은 ‘시간벌기’에 가깝다. 푸틴 대통령은 15일 이스탄불에서 ‘선결 조건 없는’ 직통 회담을 제안했지만, 동시에 “30일 휴전은 우크라이나 재무장을 돕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대변인은 “서방 ultimatums(최후통첩)는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도 검토는 하겠다고 말했다.  
러시아는 이미 5월 8~10일 승전기념일을 맞아 72시간 일방적 휴전을 선언했으나, 첫날부터 키이우와 수미 등지에 드론·미사일 공격을 이어가 논란이 일었다. 우크라이나 측에 따르면 해당 사흘 동안 민간인 1명이 사망하고 수십 명이 부상했다.  
서방은 ‘휴전 감시’ 문제도 병행 준비 중이다. 나토 회원국인 터키는 “휴전이 성사되면 즉시 감시 임무를 맡을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고,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휴전 이행 여부를 24시간 모니터링하는 ‘복합 감시체계’ 구축을 예고했다.  
그러나 전망은 불투명하다. 미국 싱크탱크들은 “30일은 재편성에 충분한 시간”이라며 러시아가 전력을 보충한 뒤 공격을 재개할 위험을 지적한다. 반대로 키이우는 “30일이라도 숨통이 트이면 에너지·교량·철로를 복구할 수 있다”고 반박한다. 양측이 ‘전략적 휴전’과 ‘인도적 휴전’이라는 서로 다른 계산을 하고 있는 셈이다.  
외교가에서는 휴전이 실현되더라도 진정한 평화협상까지는 더 복잡한 조건이 필요하다고 본다. 크림반도·돈바스의 지위, 우크라이나의 나토·EU 진입 문제, 전쟁 배상과 전범 책임 등 ‘폭탄 의제’가 산적해 있기 때문이다. 유럽 정상들은 “30일 정전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라고 입을 모은다.  
우크라이나 거리를 가득 채운 방공 사이렌은 아직 꺼지지 않았다. 그러나 마이단 광장에 모여든 시민들은 ‘30일’이라는 숫자에 작은 희망을 걸고 촛불을 밝혔다. 이 휴전 선언이 유혈의 연속을 잠시라도 끊어낼지, 아니면 새로운 전술적 숨 고르기에 그칠지는 러시아의 다음 한 수에 달려 있다. 세상의 시계는 이제 모스크바를 향해 째깍거리고 있다.이 뉴스 좋으셨다면 구독, 공감 부탁드립니다.
반응형'국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약값 80% 인하’ 행정명령 예고…‘최혜국 약가’ 부활 시도 (2) 2025.05.12 튀르키예, 대마 20톤 소각중 주민 2만 5000명 환각 고통 (2) 2025.05.12 새로운 교황, 미정부에 소득 신고하나? (4) 2025.05.11 미국, 크롬북에 불붙이는 틱톡 챌린지 유행 (0) 2025.05.11 연방법원, 트럼프 행정부 "대규모 연방 구조조정" 임시중지명령 (6) 2025.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