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넷플릭스, 2026년 AI 통합 광고 도입 계획 발표iT 2025. 5. 17. 16:42반응형
Netflix 서울, 2025년 5월 17일, 스트리밍 공룡 넷플릭스가 광고 지원 요금제 사용자들에게 2026년부터 AI 기반 광고를 도입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러한 결정은 플랫폼의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고 시청자 맞춤형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다.
넷플릭스는 최근 제3회 Upfront 행사에서 AI 생성 광고 포맷을 선보였다. 행사에서는 인기 시리즈 ‘스트레인저 씽스’ 배경에 제품 이미지를 합성하는 데모를 공개하며, 광고가 콘텐츠와 자연스럽게 융합되는 모습을 시연했다. 이를 통해 전통적인 광고 방식에서 벗어난 새로운 경험을 제시했다.
도입 예정 광고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재생 중간에 삽입되는 인터랙티브 미드롤 광고이며, 두 번째는 사용자가 일시정지할 때 나타나는 일시정지 광고다. AV Club에 따르면 이들 포맷은 모두 2026년부터 도입될 예정이다.
AI 생성 광고는 오버레이, 콜투액션 버튼, 세컨드 스크린 연동 등 다양한 인터랙티브 요소를 탑재한다. 이를 통해 광고주는 시청자 행동에 따라 맞춤형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넷플릭스는 이러한 요소가 시청자 참여를 높이고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했다.
아르스테크니카에 따르면, 이 광고는 방송 중간뿐 아니라 일시정지 화면에서도 노출되어 다양한 사용자 접점을 확보할 예정이다.
넷플릭스 측은 새로운 광고 포맷을 지원하기 위해 ‘모듈형 프레임워크’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프레임워크는 생성형 AI를 활용해 광고주의 브랜드 메시지를 콘텐츠 세계와 즉시 결합한다. 공식 발표 자료에 따르면, 이 시스템은 다양한 드라마와 영화 장면에 최적화된 광고 집행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인터랙티브 미드롤 기능과 콜투액션 오버레이는 올해 말까지 시범적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이후 2026년부터 모든 광고 지원 국가에 본격 적용된다. 이를 통해 단계적으로 사용자 경험을 검증하고 안정적으로 시스템을 확장할 계획이다.
광고 지원 요금제 이용자 수는 1년 만에 4천만 명에서 9천4백만 명으로 급증했다. 이 중 18~34세 연령층의 사용 비중이 높아 광고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넷플릭스 측은 높은 참여 시간을 바탕으로 광고 수익을 극대화할 전략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광고 확대에 대한 거부감을 드러내고 있다. 소셜 미디어에서는 “블랙 미러 에피소드를 실험하는 것 같다”는 반응과 함께 구독 취소를 암시하는 글이 속속 올라왔다. 넷플릭스가 기존의 광고 없는 환경에서 벗어나는 것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한편 넷플릭스는 자체 광고 플랫폼인 ‘Ads Suite’를 통해 광고주에게 1차 데이터와 신뢰할 수 있는 3자 데이터 결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플랫폼은 북미에서 이미 운영 중이며, 이번 달 중 유럽·중동·아프리카 지역으로 확장될 예정이다. 광고주는 Experian, Acxiom 등 파트너사와 협업해 다양한 타겟팅 옵션을 활용할 수 있다.
OTT 시장에서는 이미 주요 사업자가 광고 지원 모델을 강화하고 있다.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스포티파이 등도 자체 광고 플랫폼을 운영하며 하이브리드 모델을 도입했다. 이러한 흐름은 OTT가 본래 가진 자유로운 콘텐츠 소비 경험에 광고가 결합되는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광고 없는 요금제는 여전히 유지되지만, 광고 지원 모델의 성장세가 두드러지면서 향후 요금 구조 재편 가능성도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일부 이용자가 추가 요금을 지불하고 광고 없는 환경을 선택할 것으로 보지만, 다수는 저렴한 요금제를 선호할 것으로 전망한다. OTT 시장의 수익 다각화 기조에 맞춰 넷플릭스도 전략을 지속해서 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궁극적으로 넷플릭스는 콘텐츠 제공자를 넘어 광고 플랫폼 사업자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생성형 AI의 활용으로 더 정교해진 타겟 광고가 가능해지면서, 스트리밍 서비스는 새로운 수익 모델을 확보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소비자의 수용도와 업계 반응이 향후 전략의 향방을 결정할 주요 변수가 될 전망이다.반응형'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 대규모 감원 전체 3% 감원 중 40%가 ‘코더’였다... AI가 쓰는 코드 30% 시대 본격화 (2) 2025.05.18 삼성, 갤럭시 S25 엣지 광고에서 아이폰 저격 (4) 2025.05.17 메타, 초대형 AI 모델 ‘Behemoth’ 출시 또다시 연기 (0) 2025.05.17 애플, 카플레이 울트라 본격 출시… 차량 전반 UI 통합 강화 (4) 2025.05.16 카카오톡, “입력 중” 상태 보기 베타 서비스 시작 (2) 2025.05.15